곡물가공제조기술

곡류분말, 통곡물 제조사업



생산 가공

식약청 HACCP 인증기준 생산시설 구축

전 가공공정 자동화 위생생산라인 가동

각 단계별 가공물 진공파이프 이송으로 인체 접촉 최소화

자체 품질관리요원에 의한 단계별 미생물검사 실시

3단계 이물검사 : 블로우어, 1차,2차 금속검출기


위생관리

공장 내 HACCP 운용 전담요원3명 상주

위생관리, 품질관리, 미생물관리


사용원재료

전원료 국내산 사용(산지별 특산품 엄선)

원산지 보장을 위해 사용원료의 90% 이상을 농협에서 구입

각 단계별 가공물 진공파이프 이송으로 인체 접촉 최소화

자체 품질관리요원에 의한 단계별 미생물검사 실시

3단계 이물검사 : 블로우어, 1차,2차 금속검출기


사용원재료 분류

○곡류 : 찹쌀, 현미, 보리, 찰현미, 노란콩, 약콩, 쌀보리, 멥쌀, 옥수수, 수수, 율무, 흑미, 참깨, 들깨

○야채류외 : 양파, 당근, 양배추, 시금치, 신선초, 케일, 쑥, 녹차잎, 호박, 감자, 고구마, 사과, 마, 귤

○해조류 : 다시마, 미역, 멸치

○견과류외 : 땅콩, 잣, 밤, 은행, 호도

○유기농곡류: 현미, 보리, 대두, 흑미, 찹쌀현미, 수수, 율무, 차조, 찹쌀,참깨,검정콩

○유기농야채: 케일, 신선초, 시금치, 브로콜리, 양파, 당근, 감자, 표고버섯, 토마토, 단호박, 양배추


원재료관리(생산이력관리)

추적성관리대장으로 원료의 입고부터 제품출고까지의 각 원료별 추적관리

1차 가공원료의 2주내 사용원칙